티스토리 뷰
차세대 스마트폰 핵심 경쟁력은 센서
지문인식은 이미 보편적.. 3D얼굴.홍채 등으로 차별화
모바일 결제 인증 수단으로 미세전자기계시스템.NFC등 AR.VR 등 기술구현에 활용
스마트폰 제조사들이 다양한 센서를 활용해 차별화에 나서고 있다. 위치 확인이나 지문인식 센서 등이 일반적인 범위에 속한다면 3차원(3D) 얼굴인식이나 홍채인식 센서 등은 주요 차별화 요소로 분류된다. 앞으로도 스마트폰 제조사들은 프리미엄 전략 스마트폰에 경쟁사들이 적용하지 않는 차별화된 센서를 선제적으로 적용해 소비자들의 선택을 받겠다는 전략이다.
...
최근에는 생체인식 센서가 증가 추세다. 올해 판매될 스마트폰 중 10억대 이상이 지문인식 센서를, 4억대 이상이 얼굴인식 센서를 탑재하고 잠금해제나 금융서비스를 위한 위한 인증수단에 활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스마트폰에 탑재되는 센서 수가 증가하면서 센서의 소형화도 주요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 센서의 비중이 높아지면서 더 많은 센서들이 스마트폰에 탑재되는데 이를 위한 공간을 확보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삼성전자는 최근 초고형 고화질 이미지센서 신제품 2종을 선보이기도 했다. 이 센서들은 고화질을 구현하면서도 작은 면적에 적용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
출처 : 디지털타임즈
http://news.naver.com/main/ranking/read.nhn?mid=etc&sid1=111&rankingType=popular_day&oid=014&aid=0003934653&date=20180101&type=1&rankingSectionId=105&rankingSeq=7
생체 인식 센서란?
- 생체인식 기술은 사람의 신체적, 행동적 특징을 자동화된 장치로 추출하여 개인을 식별하거나 인증하는 기술로, 바이오인식 기술이나 바이오매트릭스라고 함.
- 생체인식 기술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누구나 가지고 있으며, 각 사람마다 고유하여, 변하지 않고 변화 시킬 수도 없으며, 센서에 의한 획득과 정량화가 쉬운 특징을 갖고 있어야 함 (ex) 지문인식, 홍채인식)
- 생체 인식은 신체적 특징과 행동적 특징으로 구분할 수 있음
- (신체적 특징) 각 개인의 얼굴 모양(Face)과 얼굴열상(Thermal image)을 이용하는 얼굴인식, 홍채(Iris)를 이용하는 홍채인식, 정맥(Vein)을 이용하는 정맥인식, 지문(Fingerprint)을 이용하는 지문인식과 그 외에 망막(Retina), 손모양(Hand geometry등을 이용한 것이 포함되고 있음.
- (행동적 특징) 음성인식, 걸음걸이 인식, 서명인식 등이 있으며, 최근에는 생체인식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행동특징인 걸음걸이, 서명(Signature), 음성(Voice) 등을 신체적 특징과 복합 활용하고 있음
- IoT 기반의 핀테크, 헬스케어, 위치기반서비스 등의 서비스가 확대되면서 해킹이나 개인정보 유출의 위험에 대응하기 위한 안전한 보안기술로 부상하고 있으며, 금융, 컴퓨터·정보시스템 보안, 통신기기 및 서비스 관리, 출입관리, 의료복지 및 공공 분야 등 광범위한 분야에 적용이 예상됨
- (금융) ATM·KIOSK, 모바일 뱅킹, 증권거래, 전자상거래, 지불 및 결제수단 등
- (보안) 정보보안(시스템 및 데이터 접근·인증제어), 생체로그인(PC용), 휴대폰/노트북/자동차 등 기기 사용자 인증 등
- (출입관리) 공항(출입국 심사, 불법 입국자 확인 등), 기업(출입통제, 근태관리 등)
- (의료복지) 환자 신분확인, 기록 관리, 원격진료, 무인전자처방전 등
- (공공) 범죄자 식별(지문대조, 성문분석 등), 전자주민증(신분증), 선거관리(본인확인) 등
- (검역) 안면인식을 통한 신종플루 감염자 식별
- (엔터테인먼트) 얼굴인식을 통한 인물 사진 분류 및 관리, 닮은 사람 찾기
국내 기업 동향
[삼성전자]
- 갤럭시 S6에 지문인식 기능을 탑재했으며 이를 기반으로 모바일 결제서비스 '삼성페이' 를 선보인데 이어 차기 신제품에 홍채인식 기술을 장착할 계획임
- 갤럭시에 지문인식 기능을 탑재하였으며, 홍채인식 기능을 탑재한 태블릿PC 제품을 출시할 예정, 또한 웨어러블 기기에서 개인의 생체신호를 인식하는 기능에 대한 특허를 출원중임
[SK텔레콤]
- 뉘앙스 커뮤니케이션즈의 '보컬 패스워드'라는 화자인증 기술을 이용한 목소리 인증 서비스를 제공함
- 사용자의 목소리를 "SK텔레콤 내 아이디 내 비밀번호입니다"라는 문장으로 미리 녹음해 두면 사용자의 목소리 특성을 분석해 신원 확인을 할 수 있으며, 다른 개인정보를 말하지 않아도 되는 서비스로, 본 서비스를 통해 기존에 사용자가 고객센터 상담 시 여러가지 개인정보를 말해야하는 번거로움을 해결함.
[LG전자]
- 홍채인식을 스마트폰에 도입할 예정임.
[삼성SDS]
- 시스템통합(SI)업체 삼성SDS는 2015년 4월 온라인이나 모바일결제 때 공인인증서 대신 지문으로 본인확인을 할 수 있는 간편 결제 서비스를 선보임
- 온라인 생체인증 국제표준단체 FIDO협회(Fast Identity Online)협회로부터 지문 기반 생체인식 인증기술을 세계에서 두 번째로 인증 받음
- FIDO 표준규격의 적합성을 검증하는 인증을 획득함에 따라 앞으로 온라인 생체인증 분야에서 사실상 표준기술이 될 것으로 기대됨
앞으로의 전망
- 한국뿐 아니라, 세계적으로 생체인식 기술의 시장 규모는 향후 다양한 분야에서 지속적으로 성장할 전망이며, 특히 모바일 기기 상에서 지문 등 생체인식 기술을 활용한 본인인증은 급성장 할 것으로 예상됨으로 모바일에서의 사업화를 위한 활용처를 찾아 집중할 필요가 있음
- 금융에서 생체인식 기술의 확산을 위해서는 관련기술 표준화가 필요함
- 생체인식 기술을 활용한 ‘지불결제’ 기능의 대중화를 위해서는 생체인식 기술 활용에 대한 고객의 심리적 불안감을 해소 노력과 제반시설 등에 대한 투자가 필요함
- 신규 거래 시, 개인의 지문이나 기타 생체 정보를 금융사에 등록해야 한다는 고객의 심리적 거부감과 정보 유출에 대한 불안감을 극복해야 함
- 신용카드 가맹점이 보유하고 있는 단말기 교체가 필요하여 막대한 비용이 소요되며, 기존 신용카드사 전산은 물론 VAN사 등 이해관계자의 추가적인 IT 투자 필요함
- 현재 사용되고 있는 ‘공인인증서’를 대체할 수 있는 수단으로의 안정성과 신뢰성 확보와 정부의 지원 및 관련 기업의 지속적인 관심 필요함
- 생체인식 기술은 센서, 소자, 보안, 소프트웨어, 통신 등 융·복합이 필요한 기술이므로, 단일 기술로의 기술이전 및 사업화가 아닌 다양한 기술의 융합과 교류가 필요함
'일기 > 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부 "5G 구축 협조하자"..통신사 "망 부담 덜어달라"(종합) (0) | 2018.01.05 |
---|---|
삼성, 3D 낸드플래시 비중 80% 돌파...평면 낸드플래시 시대 끝났다 (0) | 2018.01.03 |